엇갈리는 소비자 심리: 한국은 개선, 프랑스는 위축 Sentiment des consommateurs contrasté : Amélioration en Corée du Sud, contraction en France

 전 세계적인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한국과 프랑스의 소비자 심리가 상반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 긍정적인 기대감이 소폭 상승한 반면, 프랑스는 경기 비관론이 심화되는 양상이다.

한국, 소폭의 개선세 시현

프랑스, 비관론 확산으로 위축된 심리

상반된 흐름 속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한불통신) 한국은행이 2025년 4월 발표한 소비자 심리 지수(CCSI)는 100.7을 기록하며 전월 대비 소폭 상승했습니다. 이 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낙관과 비관을 가르는 지표로, 100을 넘어섰다는 것은 소비자들이 장기 평균보다 경제 상황을 다소 긍정적으로 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구체적으로 현재 경기와 향후 경기에 대한 인식이 모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정부의 경기 부양 노력과 일부 경제 지표의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다만, 금리 인하 기대감 축소 등 일부 부정적인 요인도 상존하여 전반적인 회복세가 견고하다고 단정하기는 이른 상황입니다. 고물가와 높은 가계 부채 수준은 여전히 소비자들의 지갑을 닫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반면, 프랑스의 상황은 다소 우려스럽습니다. 프랑스 통계청(INSEE)이 발표한 2025년 5월 가계 신뢰지수는 88로, 이는 프랑스의 장기 평균인 103.09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치입니다. 이 지수가 100보다 현저히 낮다는 것은 프랑스 가계가 현재 경제 상황에 대해 매우 비관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특히 실업에 대한 우려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프랑스 경제의 고용 불안정이 소비자 심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 지속되는 택시 파업과 같은 사회적 불안정 요소도 소비자들의 경제 전망을 어둡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기업 신뢰도 역시 하락세를 보여 전반적인 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과 프랑스의 엇갈린 소비자 심리는 각국의 고유한 경제 상황과 사회적 이슈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입니다. 한국은 일부 긍정적인 신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반면, 프랑스는 경기 둔화와 사회적 갈등이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높은 인플레이션, 지정학적 리스크, 주요국의 금리 정책 변화 등 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각국의 정부는 소비자 심리를 안정시키고 경제 활력을 되찾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소비자 심리의 회복은 내수 활성화와 경제 성장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한불통신 paris50kyo@gmail.com 

#소비지수, #소비자심리, #프랑스, #한국, #France, 


Sentiment des consommateurs contrasté : Amélioration en Corée du Sud, contraction en France

Au milieu de l'incertitude économique mondiale, le sentiment des consommateurs coréens et français affiche des tendances opposées. La Corée du Sud observe une légère hausse de l'optimisme, tandis que la France est témoin d'un pessimisme économique croissant.

Corée du Sud : légère amélioration en vue

L'indice du sentiment des consommateurs (CCSI) publié par la Banque de Corée en avril 2025 a atteint 100,7, marquant une légère augmentation par rapport au mois précédent. Cet indice, où 100 est le point d'équilibre entre optimisme et pessimisme, indique que les consommateurs coréens perçoivent la situation économique comme légèrement plus favorable que la moyenne à long terme.

Plus précisément, les perceptions de l'économie actuelle et future se sont toutes deux améliorées. Cela semble refléter les efforts du gouvernement pour stimuler l'économie et les attentes positives concernant certains indicateurs économiques. Cependant, des facteurs négatifs, tels que la réduction des attentes de baisse des taux d'intérêt, persistent, ce qui rend prématuré de conclure à une reprise robuste. L'inflation élevée et l'endettement des ménages restent des freins importants à la consommation.

France : un pessimisme croissant

La situation en France est, en revanche, plus préoccupante. L'indice de confiance des ménages publié par l'INSEE pour mai 2025 s'est établi à 88, un chiffre bien inférieur à la moyenne historique de 103,09. Un indice aussi nettement en dessous de 100 signifie que les ménages français ont une vision très pessimiste de la situation économique actuelle.

L'inquiétude concernant le chômage a notamment bondi, indiquant que l'incertitude sur l'emploi en France pèse lourdement sur le moral des consommateurs. De plus, des éléments d'instabilité sociale, comme la grève des taxis qui persiste, ont probablement contribué à assombrir les perspectives économiques des consommateurs. La confiance des entreprises est également en baisse, renforçant les préoccupations générales concernant l'état de l'économie.

Des dynamiques contrastées au cœur de l'incertitude économique mondiale

Les sentiments des consommateurs divergents en Corée du Sud et en France sont le résultat de situations économiques et de problèmes sociaux spécifiques à chaque pays. Tandis que la Corée du Sud, malgré quelques signes positifs, reste prudente, la France voit le ralentissement économique et les conflits sociaux intensifier l'anxiété des consommateurs.

Face à une incertitude économique mondiale persistante, caractérisée par une inflation élevée, des risques géopolitiques et des changements dans les politiques de taux d'intérêt des grandes économies, les gouvernements de chaque pays devront redoubler d'efforts pour stabiliser le sentiment des consommateurs et relancer l'activité économique. La restauration de la confiance des consommateurs est, en effet, un facteur clé pour stimuler la demande intérieure et soutenir la croissance économique.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