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ju 4.3 Archives : Patrimoine documentaire mondial de l'UNESCO
–오영훈 지사 “화해와 상생 이룬 도민의 여정, 세계와 나눌 것”
– 제주, 유네스코 5관왕 대기록 달성...아카이브 구축 추진
– 제주4·3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됐다.
– 미군은 제주4·3 유족들에게 사죄해야
파리 한국관에서 오영훈 제주도지사 축하메세지 보고 있다. @한불통신 11-04-2025 |
한불통신-ACPP) 제주특별자치도는 제221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가 4월 11일 금요일 오전6시 5분(프랑스 현지시각 4월 10일 23시 5분), ‘진실을 밝히다: 제주 4·3아카이브(Revealing Truth : Jeju 4·3 Archives)’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최종 승인했다고 밝혔다.
제주도와 제주4·3평화재단이 2023년 11월 제출한 등재신청서는 유네스코 등재심사소위원회(RSC)와 국제자문위원회(IAC)의 등재권고를 받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집행이사회가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최종 결정했다.
지난 2018년부터 시작된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노력이 7년만에 결실을 맺게 됐다.
제주4·3기록물은 진실 규명과 화해의 과정을 담은 1만 4,673건의 역사적 기록을 담고 있다.
군법회의 수형인 명부와 옥중엽서(27건), 희생자와 유족들의 생생한 증언(1만 4,601건), 시민사회의 진상규명 운동 기록(42건), 정부의 공식 진상조사보고서(3건) 등이 포함됐다.
유네스코 집행이사회는 제주4·3기록물의 역사적 가치와 진정성, 보편적 중요성을 인정했다.
국제자문위원회에서는 제주4·3기록물에 대해 “국가폭력에 맞서 진실을 밝히고, 사회적 화해를 이뤄내며 희생자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을 조명한다”며 “화해와 상생을 향한 지역사회의 민주주의 실천이 이룬 성과”라고 높이 평가했다.
제주도는 이번 등재로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세계자연유산, 세계지질공원, 무형문화유산, 여기에 세계기록유산까지 더해져 ‘유네스코 5관왕’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하게 되었다.
오영훈 지사는 “제주4·3의 아픔을 치유하고 화해와 상생을 이뤄낸 제주도민의 역사적 여정이 세계의 유산이 된 뜻깊은 순간”이라며 “이번 등재를 계기로 제주4·3이 담고 있는 평화와 인권, 화해와 상생의 가치를 전 세계와 함께 나누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4·3 관련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수집·보존하고, 이를 미래 세대를 위한 평화·인권 교육의 살아있는 자료로 활용하겠다”며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아카이브 구축을 위해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파리서 열린 제주 4·3 특별전 |
11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국제대학촌 한국관에서 제주 4·3 특별전 개막식이 열렸다. 2025.4.11 (파리=연합뉴스) 송진원 특파원 = san@yna.co.kr
13만 명 유족회를 이끌고 있는 김창범 4·3희생자유족회장은 11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4·3 기록물을 4·3 영령님들께 봉헌해드리고 싶다"며 감격했다.
김 회장은 제주도가 4·3기록물 세계기록유산 최종 등재 결정을 앞두고 프랑스 파리에서 연 '진실과 화해에 관한 기록' 특별전 개최 등을 위해 현재 파리 현지에 머무르고 있다.
김 회장은 또한 "4·3 당시 삶과 죽음의 기로에서 생존해 오고, 모진 역경을 극복해 내신 생존 희생자와 유족 분들에게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4·3기록물을) 전달해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아울러 "4·3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계기로 4·3 왜곡으로부터 상처를 덜 받게 되기를 소망한다"고 강조했다.
마찬가지로 4.3 특별전을 계기로 온 진명기 제주도 행정부지사 역시 "2018년부터 등재를 위한 노력이 시작됐다. 국가유산청과 전문가를 비롯해 유족회, 평화재단, 관련 시민단체와 시민들의 진상규명을 위한 간절함이 있었다"며 "모두가 힘을 합쳐서 빛을 발하는 순간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강호진 4·3기념사업위원회 집행위원장은 "4·3이 과거의 기억이 아닌 미래로 이어갈 수 있게 된 중요한 성과로 본다"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강 위원장은 "다만 선정됐다고 끝은 아니다. 차기 정부에서 4·3 기록물의 유네스코 등재에 따른 기록관 건립을 신경 써서 해 줬으면 한다"며 "또 유네스코 등재가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1만4천건 방대한 기록물이 우리 사회 곳곳과 특히 청소년에게 널리 알려지면서 단순히 4·3이 아픈 기억이 아닌 미래에도 같이할 수 있는 가치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창후 제주4·3연구소장은 "환영한다"며 "앞으로는 4·3 역사 기록물을 잘 정리하고 보존해 세계에 알리는 작업에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4·3범국민위원회도 보도자료를 통해 환영의 입장을 전하며 "이제 4·3은 더이상 폄훼하고 왜곡할 대상이 아니다. 국제사회가 4·3의 진실을 인정했고, 우리의 민주주의를 향한 노력을 인정한 것"이라며 "4·3이 대한민국 역사에 온전하게 자리매김할 때까지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
현재 프랑스 파리국제대학촌 한국관에서는 등재를 기념하는 ‘제주4·3 아카이브(ARCHIVES): 진실과 화해’ 특별전(4.9.~15.)이 열리고 있다.
제주 4·3을 세계에 알린 현기영 작가의 '순이삼촌' 번역판 |
11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국제대학촌 한국관에서 열린 제주 4·3 특별전에 현기영 소설가의 작품 '순이삼촌'의 한국어, 영어, 프랑스어판이 전시돼 있다.
현 작가의 '순이삼촌'은 4·3의 참상과 아픔을 세상에 처음으로 알린 작품이다. 2025.4.11 (파리=연합뉴스) 송진원 특파원 = san@yna.co.kr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