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문화예술인 기본소득 추진 의지 재확인…세부 논의 필요성 부상 Le président Lee Jae-myung réaffirme sa volonté de promouvoir un revenu de base pour les artistes et professionnels de la culture, la nécessité de discussions approfondies émerge
문화예술인 기본소득, 구체적인 논의 필요성 제기
2022년 공약에서 년간 100만원 매월 8만3천원 기본소득
이재명 대통령, 문화예술계 수상자 간담회 발언 |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파인그라스에서 열린 문화예술계 수상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6.30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hihong@yna.co.kr
한불통신 2025년 6월 30일, 용산 대통령실 –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30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 앞 잔디밭 '파인그라스'에서 열린 문화예술계 인사들과의 대화에서 문화예술인에 대한 기본소득 도입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관련 정책 추진 의지를 다시금 피력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의 브리핑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문화는 우리 사회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투자 역할을 한다"고 강조하며, 문화적 역량이 국민에게 위로와 휴식을 주는 공공 자산인 만큼 문화예술인 기본소득 또한 국가적인 투자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2022년 대선 공약에서 제시되었으나 올해 대선 공약에서는 제외되었던 문화예술인 기본소득을 여전히 추진할 의사가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으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문화 정책 수립의 어려움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문화 (영역이) 워낙 다종다양해 문화 정책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를 찾는 것도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또한 "관료적 탁상공론이 아니라 수요자가 정말 원하는 정책을 가감 없이 발굴하고 실현해야 한다"고 역설하며 현장 중심의 정책 개발을 주문했다.
문체부 장관 지명과 관련한 질문에 강 대변인은 "우리가 문화예술 '빅5' 강국이 돼야 한다거나, 특히 소프트파워로서 문화예술의 가치와 관련해 산업적인 결과물을 꼭 만들어내고 싶다는 의지와 계획이 단단한 편"이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신중한 인선 과정에 있음을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이번 발언으로 문화예술인 기본소득 도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으나, 구체적인 제도 설계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함께 제기되고 있습니다.
2022년 대선 당시 이재명 후보는 문화예술인에게 연간 100만원의 기본소득을 지급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이는 월 약 83,333원, 현재 환율(2025년 6월 30일 기준)로 약 52.52 유로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당시 이 후보는 "대상이 협소하기에 문화예술인 기본소득의 예산 부담은 거의 크지 않다"고 언급하며, 즉시 시행보다는 임기 내 도입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당시 공약에서는 '대상의 협소성'을 언급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히 몇 명의 문화예술인이 이 혜택을 받게 될지에 대한 구체적인 인원수는 명시되지 않았다.
향후 문화예술인 기본소득이 구체화될 경우, 대상의 범위와 자격 기준, 예산 확보 방안 등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명확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문화예술계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의 문화예술인 기본소득 추진 의지 표명을 환영하면서도, 실질적인 지원과 지속 가능한 제도 마련을 위한 정부의 구체적인 계획과 적극적인 소통을 기대하고 있다. paris50kyo@gmail.com
끝)
#문화예술인기본소득, #이재명,
Le président Lee Jae-myung réaffirme sa volonté de promouvoir un revenu de base pour les artistes et professionnels de la culture, la nécessité de discussions approfondies émerge
30 juin 2025, Bureau présidentiel de Yongsan – Le président Lee Jae-myung a récemment réaffirmé la nécessité d'introduire un revenu de base pour les artistes et professionnels de la culture, marquant ainsi sa volonté de poursuivre cette politique. Cette déclaration a été faite lors d'un dialogue avec des personnalités du monde culturel et artistique, qui s'est tenu le 30 juin sur la pelouse du « Pine Grass » devant le bureau présidentiel de Yongsan.
Selon le porte-parole présidentiel Kang Yu-jeong, le président Lee a souligné que « la culture agit comme un investissement qui élève le niveau de notre société », ajoutant que puisque les capacités culturelles sont un bien public qui apporte réconfort et repos aux citoyens, le revenu de base pour les artistes devrait également être considéré comme un investissement national. Cette position est interprétée comme une indication que le président Lee a toujours l'intention de promouvoir cette politique, bien qu'elle ait été proposée lors de la campagne présidentielle de 2022 mais exclue du programme électoral de cette année.
Le président Lee a également évoqué les difficultés liées à l'élaboration des politiques culturelles, déclarant qu'il était « difficile de définir les priorités de la politique culturelle, car le domaine de la culture est extrêmement diversifié, et de trouver un candidat pour le poste de ministre de la Culture, des Sports et du Tourisme ». Il a insisté sur la nécessité de « découvrir et de mettre en œuvre sans réserve les politiques que les utilisateurs désirent réellement, plutôt que des discussions bureaucratiques abstraites », appelant à une élaboration de politiques axée sur le terrain.
Interrogée sur le processus de nomination du ministre de la Culture, Mme Kang a expliqué que le président « a une forte volonté et un plan solide pour que nous devenions l'une des cinq grandes puissances culturelles et artistiques, en particulier en ce qui concerne la valeur des arts et de la culture en tant que soft power, et qu'il souhaite absolument produire des résultats industriels ». Elle a ajouté que le président était prudent et réfléchi dans cette nomination afin de concrétiser tous ces objectifs. paris50kyo@gmail.com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