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문화예술인과의 만남에서 콘텐츠 산업 육성 의지 천명 Le président Lee Jae-myung déclare sa volonté de promouvoir l'industrie du contenu lors d'une rencontre avec des artistes et des personnalités culturelles
'폭싹 속았수다' 드라마가 이재명을 움직이게 했다
문화예술인 기본소득 재논의 및 프랑스 지원 모델의 시사점
이재명 대통령 부부, 'K-컬처' 주역과 함께 |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파인그라스에서 열린 문화예술계 수상자 간담회를 마치며 참석자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칸국제영화제 학생부문(라 시네프) 1등상을 수상 허가영 영화감독, 프랑스 문화예술공로훈장'코망되르'를 수훈한 조수미 성악가, 김 여사, 이 대통령, 토니상 6관왕을 석권한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 박천휴 작가,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를 연출한 김원석 감독, '로잔발레 콩쿠르'에서 우승한 박윤재 발레리노,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 2025.6.30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hihong@yna.co.kr
한불통신 2025년 6월 30일, 용산 대통령실) –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30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 앞 잔디밭 '파인그라스'에서 문화예술계 인사들을 초청해 문화 콘텐츠 산업 발전 방안에 대한 폭넓은 대화를 나눴었다.
이 자리에서 이 대통령은 문화예술인 기본소득 도입 필요성을 재차 언급하며 문화 산업을 통한 대한민국의 '소프트파워' 강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이날 행사에는 토니상 6관왕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의 박천휴 작가,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김원석 감독, 칸국제영화제 라 시네프 1등상 수상작 '첫여름'의 허가영 감독, 성악가 조수미, 발레리노 박윤재 등 대한민국 문화예술을 대표하는 얼굴들이 함께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파인그라스에서 문화예술계 수상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칸국제영화제 학생부문(라 시네프) 1등상을 수상 허가영 영화감독, 프랑스 문화예술공로훈장'코망되르'를 수훈한 조수미 성악가, 김 여사, 이 대통령, 토니상 6관왕을 석권한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 박천휴 작가,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를 연출한 김원석 감독, '로잔발레 콩쿠르'에서 우승한 박윤재 발레리노, 사회를 맡은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 2025.6.30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hihong@yna.co.kr
이 대통령은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팬임을 밝히며, "드라마를 산업으로 키우면 대한민국을 세계에 드러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고부갈등 등 한국적 소재가 세계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한 것에 대해 "결국 섬세한 표현력 때문이 아니겠나. 이런 게 우리의 실력"이라며 한국 문화 콘텐츠의 힘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문화 산업을 키우면 세계적인 선도국가로 나갈 강력한 힘이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습니다.
배우자인 김혜경 여사는 이 대통령이 드라마를 보고 눈물을 흘린 것에 대해 "하늘나라에 가신 시누이(이 대통령의 누이)를 연상시킨 것 같다"고 설명하며 깊은 가족애를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문화예술계에 대한 각별한 애정과 관심을 여러 차례 표했습니다.
김 여사의 피아노 전공을 언급하며 "남편을 키우는 예술가가 됐다"고 웃음을 자아냈고,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조용히 넘어간 것에 대한 아쉬움을 표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영화 촬영 현장의 어려움에 공감하며 "대규모 세트장 등은 국가에서 지원해주면 좋겠다"고 제안했습니다.
이어진 참석자들의 건의에서도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됐습니다.
박윤재 발레리노는 한국 남자 무용수들의 군 복무 문제로 인한 해외 진출의 어려움을 토로했고, 허가영 감독은 상업 영화 외 독립/예술 영화에 대한 정부 지원 확대를 건의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부부, 문화예술계 수상자 간담회 참석자와 환담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파인그라스에서 열린 문화예술계 수상자 간담회에서 토니상 6관왕을 석권한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 박천휴 작가 등 참석자들과 환담을 하고 있다. 2025.6.30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hihong@yna.co.kr
문화예술인 기본소득 재논의 및 프랑스 지원 모델의 시사점
이재명 대통령의 이번 발언으로 2022년 대선 공약이었던 문화예술인 기본소득 도입에 대한 논의가 다시 활성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당시 이 후보는 연간 100만원 (월 약 83,333원, 현재 환율 기준 약 52.52 유로)의 기본소득 지급을 제안하며 "대상이 협소하여 예산 부담이 크지 않다"고 밝혔으나, 구체적인 대상 인원은 명시하지 않았습니다. 향후 실제 도입 시 대상 범위, 자격 기준, 예산 확보 방안 등 세부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논의 과정에서 프랑스의 선진적인 문화 예술 지원 모델은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프랑스는 문화 예술 강국으로서 예술가와 문화 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기관과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파인그라스에서 열린 문화예술계 수상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6.30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프랑스의 주요 문화 예술 지원 기관 및 정책:
문화부 (Ministère de la Culture): 프랑스 문화 정책 전반을 총괄하며, 각 분야별 산하 기관들을 통해 세부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국립 영화 및 영상 센터 (Centre National du Cinéma et de l'Image Animée, CNC): 영화관 입장권 수수료 등 관련 산업 세금을 재원으로 영화 및 시청각 산업의 기획, 제작, 배급 등 전 단계에 걸쳐 재정 지원을 제공하며, 특히 독립 영화 제작의 핵심적인 버팀목이 된다.
프랑스 해외문화진흥원 (Institut français): 전 세계에 프랑스 문화를 홍보하고 예술 교류를 촉진하며, 해외 진출을 위한 프로젝트 지원, 파리국제예술공동체(Cité internationale des arts)를 통한 레지던시 프로그램 운영 등을 지원한다.
국립조형예술센터 (Centre National des Arts Plastiques, CNAP): 시각 예술 분야의 창작 및 보급을 지원하며, 예술가 레지던시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예술가 및 간헐적 근로자 지위 (Statut d'intermittent du spectacle): 예술가들의 특수한 고용 형태를 인정하여 비활동 기간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독자적인 사회 보장 제도로, 예술가들이 안정적으로 창작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적인 지원책이다.
지역 문화 예술 지방국 (DRAC), 104 팩토리 (104 Factory): 지역 문화 예술 활성화와 문화예술 분야 스타트업 지원 등 풀뿌리부터 산업적 측면까지 다각적인 지원을 제공합니다.
프랑스의 사례는 정부의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지원이 예술가들이 안정적으로 창작에 몰두하고 국가 문화의 세계적 위상을 높이는 데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줍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문화 산업 육성 의지가 프랑스와 같은 선진 모델을 참고하여 한국의 문화예술 생태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paris50kyo@gmail.com
끝)
#허가영영화감독, #조수미성악가, #박천휴작가, #김원석 감독, #박윤재발레리노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