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위암 발병률 압도적 1위, 한국! 과일 섭취는 '방패', 소금은 '독' Taux de cancer de l'estomac en Asie de l'Est : la Corée du Sud, numéro 1 incontesté ! Les fruits, un 'bouclier' ; le sel, un 'poison'.

 

과일, 위암의 강력한 방어막

한국은 미국의 10배에 달하는 발생률로 세계 1위

소금, 위암 위험을 최대 97% 높이는 주범

유럽의 위암 발생률: 핀란드가 가장 높은 원인은?

위암 예방을 위한 식습관 권고


한중일에 유독 많은 위암

[자료 사진]



한불통신-ACPP) 전 세계 위암 신규 환자의 60% 이상이 동아시아에 집중되어 있으며, 특히 한국은 미국의 10배에 달하는 발생률로 세계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의학계의 오랜 연구 끝에, 최근 아시아인 대상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통해 과일 섭취가 위암 위험을 낮추고, 과도한 소금 섭취는 위암 위험을 크게 높이는 것으로 밝혀져 주목받고 있다.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강대희 교수와 중앙대 식품영양학과 신상아 교수 공동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역학 리뷰'(Epidemiologic reviews) 최신호에서 아시아 인구를 대상으로 한 국내외 30편의 코호트 연구 논문(총 427만 명 분석)을 메타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 과일 섭취량이 가장 많은 그룹은 가장 적은 그룹에 비해 위암 발생 위험이 평균 11%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러한 위암 예방 효과가 과일에 풍부한 비타민C, 폴리페놀, 식이섬유 등 항산화 및 항염증 성분 덕분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들 성분은 위암의 주범 중 하나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이 생성하는 발암물질(N-니트로소 화합물)의 형성을 억제하고, 위 점막과 유전자(DNA) 손상을 막으며, 위축성 위염이 위암으로 진행되는 것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이번 연구에서는 과도한 소금 섭취가 위암 발생 위험을 최대 97%까지 높이는 요인으로 지목되었다. 


신선한 과일
[자료 사진]


과도한 소금은 위 점막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과 변형을 유도하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에 대한 위 점막의 민감도를 증가시켜 암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위 내 염분 농도가 높아지면 점막 자극을 통해 위암 전 단계인 장상피화생을 유도할 수도 있다. 

고염 섭취가 위 점막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고 만성 염증을 촉진한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다만, 소금의 경우 분석에 사용된 코호트 연구 논문이 3편으로 적어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위 내용에는 유럽 전체의 위암 발생률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유럽의 경우 동아시아보다는 위암 발생률이 낮은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유럽 내에서도 국가별 차이가 존재합니다. 유럽에서 위암 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국가 중 하나는 핀란드다.

핀란드의 위암 발생률이 높은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염장 식품과 훈제 식품 등 소금 함량이 높은 전통적인 식습관이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또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률 역시 위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외에도 유전적 요인, 흡연, 음주 등 다른 위험 요인들도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위암 예방을 위해 매일 과일과 채소를 총 400g 이상 섭취하고, 음식을 만들 때 소금을 줄이는 식습관을 기르는 것을 권고했다. 

신상아 교수는 "세계암연구기금(WCRF)이 권장하는 하루 과일·채소 400g을 과일에만 적용하면 하루 250~300g 이상에 해당한다"며, "과일의 종류와 상관없이 매일 중간 크기로 2~3개 또는 약 2컵 분량을 통째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과일 주스보다는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혈당을 급격히 올리지 않는 신선한 통과일을 섭취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며, 식사 중간 간식이나 식후 디저트로 과일을 곁들이는 습관을 들이는 것을 추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위암 예방을 위한 실질적인 식습관 개선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특히 동아시아인에게 특화된 예방 전략 마련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불통신 paris50kyo@gmail.com 


끝)

#과일, #식습관, #소금 


댓글